2025. 7. 2. 08:00ㆍ무역
중국 수출을 준비하는 많은 브랜드들이
**“생산은 완료됐는데, 통관이 안 됩니다”**라는 벽에 부딪힙니다.
특히 OEM 화장품은
공장에서는 문제가 없었더라도,
중국 세관에서는 완전히 다른 기준으로 통제됩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
OEM 화장품 중국 통관 시 실제로 발생한 실수 사례 5가지를
실무 중심으로 소개합니다.
준비 중인 브랜드사라면 반드시 체크해두세요.
📌 목차
- 중문 라벨 누락 – 박스에 붙였지만 제품에 빠짐
- NMPA 미등록 – 공장 출고는 가능했지만 통관 불가
- 성분표 미제출 – 천연성분도 자료 요구됨
- HS CODE 오류 – 관세율 차이로 과징금 발생
- 수입자 미등록 – 통관 지연 후 전량 반송
1. 중문 라벨 누락 – 박스에 붙였지만 제품에 빠짐
어떤 브랜드는
포장박스 외부에는 중문 라벨을 붙였지만,
제품 용기에는 중문 표기가 누락되었습니다.
이 경우 세관에서는 다음과 같이 조치합니다:
“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실제 제품에 중문 라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음”
→ 통관 거절, 폐기 또는 반송 지시
✅ 제품 1개 단위 기준으로도 중문 사용법/성분/제조일자 등 필수 표기가 필요합니다.
2. NMPA 미등록 – 공장 출고는 가능했지만 통관 불가
기능성 화장품(예: 톤업, 미백, 자외선 차단 등)은
NMPA 등록과 승인이 완료된 제품만 중국 통관이 가능합니다.
한 브랜드는 NMPA 등록 전에 제품을 출고했지만,
세관에서 다음과 같은 안내를 받았습니다:
“NMPA 등록번호 확인 불가, 기능성 제품은 통관 불가”
→ 전량 폐기 또는 긴급 철수
✅ 일반 제품도 등록 필요하며, 기능성은 승인 완료 후 출고해야 안전합니다.
3. 성분표 미제출 – 천연성분도 자료 요구됨
“천연성분이라 따로 성분표는 없는데요?”
이렇게 생각했다가 문제가 생긴 경우도 있습니다.
중국 세관은 천연 유래 성분도 안전성 및 구성표를 요구하며,
중국어 번역본이 필요합니다.
미제출 시:
“제품 구성 정보 미비로 통관 보류”
→ 성분표 보완 후 재심사, 수일 지연
✅ 출고 전 성분표 + 영문/중문 버전을 준비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.
4. HS CODE 오류 – 관세율 차이로 과징금 발생
공장에서 제공한 HS CODE가
단순 화장품용 기준이었지만,
실제 제품은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구조였습니다.
결과적으로:
- 세관에서 코드 재지정
- 관세율 8% → 18%로 상향
- 과세 차액 + 벌금 부과
✅ HS CODE는 실제 성분 기준으로 미리 전문가 검토가 필요하며,
상업송장, 포장재, 라벨 모두 동일 코드로 정합성 맞춰야 합니다.
5. 수입자 미등록 – 통관 지연 후 전량 반송
중국은 수입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
세관 통관 자체가 불가능합니다.
한 브랜드는
현지 지인을 수입자로 지정했지만,
CIQ(중국 질검국)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 통관이 지연됐습니다.
결과:
“수입자 자격 미달로 통관 거절”
→ 1주일 보류 후 반송 결정
✅ 반드시 정식 수입자 등록번호 + 통관 자격 보유 기업과 함께 진행해야 합니다.
✅ 요약
✔ OEM 생산만으로는 중국 수출이 완성되지 않습니다
✔ 중국은 제품 단위의 중문표기, 성분표, 인증번호, 수입자 자격까지 모두 확인
✔ 실수 하나로 통관 지연 or 폐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
'무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국 상표 분쟁 사례와 예방 전략 – 브랜드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(0) | 2025.07.04 |
---|---|
중국 수출 후 마케팅까지 – 브랜드사가 준비해야 할 실행 플랜 (7) | 2025.07.03 |
중국수출 통관 이렇게 다릅니다 – 한국 수출과의 핵심 차이점 (1) | 2025.07.01 |
중국수출 준비 이렇게 하세요 – 브랜드사가 꼭 알아야 할 5단계 절차 (0) | 2025.06.30 |
무역용어 정리 – 수출입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10가지 (0) | 2025.06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