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알루미늄압출이란? 구조부터 제작 과정, 산업별 활용까지 정리 (2025년 기준)
엘에스커넥션
2025. 5. 30. 08:15
알루미늄압출은 건축, 가구, 전자기기, 산업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
가볍고 내식성이 뛰어난 부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가공 방식입니다.
2025년 현재, 알루미늄을 구조체나 부품으로 가공하려는 업체라면
압출 방식과 설계 흐름을 정확히 이해해야 제작 효율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.
📌 이 글의 목차
- 알루미늄압출이란 무엇인가?
- 압출 방식의 종류
- 알루미늄압출 제작 과정
- 자주 쓰이는 산업별 알루미늄압출 사례
- 알루미늄압출 금형 설계 시 고려사항
- 알루미늄압출의 장점과 단점
- 관련 키워드 정리
1. 알루미늄압출이란 무엇인가?
알루미늄압출(Aluminum extrusion)은
고온으로 가열한 알루미늄 빌렛(billet)을 고압으로 눌러 특정 단면 형상으로 길게 성형하는 가공 방식입니다.
- 단면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며,
- 중공(속이 빈) 구조도 가능하고,
- 가공 후 절단/도장/조립까지 쉽게 이어집니다.
2. 압출 방식의 종류
✅ 고형 압출 (Solid Extrusion)
: 내부가 꽉 찬 사각바, 각파이프, 프레임, 브라켓류 제작 시
✅ 중공 압출 (Hollow Extrusion)
: 속이 빈 구조 – LED바 프레임, 창호 프레임, 파이프 등
✅ 다이렉트 vs 인다이렉트 방식
- Direct: 일반적인 수평 압출 방식
- Indirect: 금형 이동 방식 – 치수 정밀도 향상
3. 알루미늄압출 제작 과정
- 도면 설계 (2D 혹은 3D 단면 기준)
- 압출용 금형 제작 (단면 형상에 맞는 특수 금형)
- 알루미늄 빌렛 가열 (약 450~500℃)
- 압출 프레스 작동 → 길게 밀어내기
- 절단 및 냉각
- 열처리(T6 등급 등)
- 표면 처리 (아노다이징, 분체도장, 브러쉬 등)
- 가공 및 포장
✅ 평균 제작 소요 기간: 금형 제작 7~10일 + 압출 5일 + 표면 처리 3일
4. 자주 쓰이는 산업별 알루미늄압출 사례
산업 분야활용 부품 예시
건축 | 창호 프레임, 커튼월, 구조재 |
가구 | 테이블 다리, 레일, 엣지 프로파일 |
전자 | 방열판, 케이블 채널, 하우징 |
디스플레이 | 광고프레임, 배너박스, 전시부스 |
모빌리티 | 자전거 프레임, 전동킥보드 부품 등 |
👉 단면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 알루미늄압출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.
5. 알루미늄압출 금형 설계 시 고려사항
- 단면 구조의 최소 두께 확보 필요 (보통 1.2~1.5mm 이상)
- 중공 구조일 경우, 내부 코어 설계 필요 (금형 가격 상승 요소)
- 길이 기준 보통 3m~6m, 요청 시 절단 및 CNC가공 가능
- 대량 생산 전 샘플 압출(1~2톤 단위) 가능 여부 확인 필요
✅ CAD 기반 설계가 필수이며, 금형당 단가가 150만~300만 원 선에서 시작됩니다.
6. 알루미늄압출의 장점과 단점
✅ 장점
- 고정밀 단면 반복 생산 가능
- 가벼우면서도 강성 확보
- 다양한 표면 처리 및 컬러 적용 가능
- 비용 대비 우수한 대량 생산 효율
⚠️ 단점
- 초기 금형 비용 존재
- 복잡한 구조는 제작 불가 (단면 형상 한계)
- 열처리 및 표면처리까지 해야 최종 품질 확보
카카오톡
http://pf.kakao.com/_Uxeaxln/chat
엘에스커넥션
제조(OEM/ODM),금형,무역 과정 모든 솔루션을 한 곳에서 [모든 임직원 칭화대 출신 전문가]
pf.kakao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