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et Weight vs Gross Weight 정확한 구분 – 수입통관과 물류에 꼭 필요한 기준
2025. 6. 12. 08:00ㆍ무역
Net Weight(순중량), Gross Weight(총중량)
두 용어는 무역, 물류, 수입통관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지만
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헷갈리기 쉬운 개념입니다.
하지만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으면
통관 지연, 세금 과다납부, 물류비 착오 같은 실무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국제 무역/물류 실무에 따라
Net Weight와 Gross Weight의 정의, 차이점, 실전 계산 방식을 명확히 정리합니다.
📌 이 글의 목차
- Net Weight와 Gross Weight란?
- 두 용어의 정확한 차이점
- 실제 예시로 보는 계산 방식
-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착오 사례
- 수입 통관/물류비에 미치는 영향
- 관련 키워드 정리
1. Net Weight와 Gross Weight란?
용어정의
Net Weight (N.W) | 제품 자체 무게만을 의미 (포장 제외) |
Gross Weight (G.W) | 제품 + 모든 포장재 포함 무게 (내포장, 외포장 포함) |
✅ 쉽게 말해,
Net Weight는 순수 제품 무게
Gross Weight는 운송 단위 하나의 총 무게입니다.
2. 두 용어의 정확한 차이점
항목Net WeightGross Weight
기준 | 제품만 | 제품 + 포장 전체 |
사용처 | 관세 계산, 수량 기준 | 물류비, 운송료, CBM 배분 |
표시 위치 | 인보이스, 제품 라벨 | 패킹리스트, 외포장 라벨 |
예시 | 내용물 500g | 내용물 + 병 + 박스 = 720g |
3. 실제 예시로 보는 계산 방식
예시: 50ml 화장품 용기 1,000개 수입
- Net Weight (N.W) = 0.07kg × 1,000개 = 70kg
→ 플라스틱 용기 + 내용물만 계산 - Gross Weight (G.W) = (용기 + 내용물 + 내포장 + 외박스) = 0.085kg × 1,000개 = 85kg
→ 박스, 완충재, 테이프, 라벨 포함 전부 포함
✅ 운송비/창고 입고 기준은 대부분 G.W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4.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착오 사례
- 패킹리스트에 G.W 미기재 → 물류사 견적 불가 / 입고 지연
- 인보이스 단가 계산에 G.W 기준 적용 → 과세 과다 적용
- CBM 산출 시 Net Weight 기준 적용 → 운송비 과소계산 후 차액 청구
👉 모든 서류에서 N.W와 G.W를 구분해서 병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5. 수입 통관/물류비에 미치는 영향
항목적용 기준설명
수입관세 계산 | 대부분 N.W 기준 | 제품 실제 단가 기준 계산 |
물류비(항공/해상) | 대부분 G.W 기준 | 운송 중량 기준 요율 적용 |
창고료/입고비 | G.W 기준 | 3PL 창고 입고 시 G.W 단위 청구 |
CBM 계산과 병행 | G.W vs 부피 비교 | 항공은 G.W, 해상은 CBM 우선 적용 |
✅ 항공운송의 경우, 중량과 부피 중 높은 쪽으로 요율 계산합니다.
정확한 무게 단위 구분은 단순한 용어 차이가 아니라,
세금과 비용, 납기 전체에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입니다.
무역 서류에는 반드시
Net Weight와 Gross Weight를 모두 기재하고,
제품+패키지 구조를 기준으로 사전에 계산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.
http://pf.kakao.com/_Uxeaxln/chat
엘에스커넥션
제조(OEM/ODM),금형,무역 과정 모든 솔루션을 한 곳에서 [모든 임직원 칭화대 출신 전문가]
pf.kakao.com
'무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OSS WEIGHT 뜻 – 실제 운송비 계산 시 기준 되는 항목은? (2) | 2025.06.20 |
---|---|
1688 구매대행 vs 배송대행 차이점 – 어떤 방식이 내게 맞을까? (1) | 2025.06.16 |
Packing List 작성법과 양식 – 무역 실무자가 정리한 포장명세서 A to Z (0) | 2025.06.11 |
쉬핑마크(Shipping Mark)란? 무역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포장 라벨 기준 정리 (1) | 2025.06.10 |
B/L 뜻 (Bill of Lading) - 무역에서 꼭 알아야 할 선하증권의 개념과 실무 활용법 (1) | 2025.06.09 |